컴퓨터구조와 운영체제 (3) 썸네일형 리스트형 CPU의 내부 구성 (1)- ALU ALU(산술 논리 장치, arithmetic and logical unit) ALU란 덧셈, 뺄셈과 같은 두 숫자의 산술연산과 배타적 논리합, 논리곱, 논리합 같은 논리 연산을 계산하는 디지털 회로이다. ALU가 받아들이는 정보 ALU는 레지스터를 통해 피연산자를 받아들이고, 제어장치로 부터 수행할 연산의 제어 신호를 받아 들인다. ALU는 레지스터를 통해 받아들인 피연산자와 제어장치로 받아들인 제어신호로 산술 연산, 논리 연상 등 다양한 연산을 하게 된다. 이렇게 연산을 한 값은 특정 숫자나 문자가 될 수 도 있고, 메모리 주소가 될 수 도 있다. 이 결괏값은 바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그 이유는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가 레지스터에 접근하는 속도보다 .. 컴퓨터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2) - 메인보드, 시스템 버스 메인 보드 메인보드는 마더보드, 주회로 기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메인보드는 컴퓨터에 쓰이는 주회로가 내장된 보드로 시스템을 작동 시키는 CPU나 메모리와 같은 핵심 부품을 장작할 수 있는 슬롯과 주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시스템 버스 메인 보드에는 핵심 부품들을 연결할 수 있다고 했는데 핵심 부품끼리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버스라는 것이 있다.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는 통로라고 볼 수 있다. 버스는 여러 종류의 버스가 있는데 그 중 제일 중요한 버스를 시스템 버스라고 한다. 시스템 버스 내부 구성으로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가 있다. 주소 버스 주소 버스는 주소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로이다. 데이터 버스 데이터 버스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 컴퓨터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1)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컴퓨터의 핵심 부품 우선 컴퓨터의 구조를 알아보기 앞서 컴퓨터란 무엇인가? 컴퓨터는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이다. 컴퓨터 구조 지식에서 알아야 하는 부분은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와 컴퓨터의 핵심 부품이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 데이터와 명령어 우선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자.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에는 데이터와 명령어가 있다. 데이터는 컴퓨터와 주고받는 정보나 컴퓨터에 저장되는 정보를 의미하고, 명령어는 이러한 데이터를 움직이고 작동시키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1과 2를 더하라'는 명령어이고, 1과 2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점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의 모음'이라 정의되기도 한다. 컴퓨터의 핵식 부품 그럼 이제 컴퓨터의 핵심 부품 4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컴퓨터의 핵심 부품으로.. 이전 1 다음